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사라질 직업 vs 새로 생길 직무: 경력 전환과 리스킬링 가이드

by 지니튜터 2025. 7. 12.

오늘은 [2025 글로벌 채용시장 리포트 총정리]를 주제로 
사라질 직업 vs 새로 생길 직무: 경력 전환과 리스킬링 가이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사라질 직업 vs 새로 생길 직무: 경력 전환과 리스킬링 가이드
사라질 직업 vs 새로 생길 직무: 경력 전환과 리스킬링 가이드

글로벌 고용 리포트, 무엇이 다를까?

2025년 주요 경제 기관들이 발표한 글로벌 고용 리포트는 과거와 달리 AI, 기후변화, 인구 고령화, 지정학적 리스크 등을 종합 분석하고 있습니다.
특히 WEF Future of Jobs Report, OECD Employment Outlook, 그리고 LinkedIn Skills Compass는 채용, 직무 변화, 핵심 스킬 트렌드를 깊이 다룹니다.
이들 보고서는 아래 세 가지 질문에 대한 해답을 제시합니다:

  1. 어떤 직업이 사라지고 생길까?
  2. 어떤 역량이 올라가고, 어떤 역량이 줄어들까?
  3. 기업과 근로자는 무엇을 준비해야 할까?

 

사라질 직업 TOP 5: 경고음 울리는 직업군

① 단순 사무·데이터 입력

칵테일 계산, 전표 정리, 데이터 입력 업무 등은 AI와 자동화 시스템으로 빠르게 대체되는 중입니다.

 

② 은행 창구 직원 및 캐셔

자동화 키오스크와 모바일 뱅킹 확산으로 과제를 수행하는 대신 24시간 셀프 서비스 채널이 주류가 되고 있습니다.

 

③ 우편·택배 분류, 콜센터 상담원

단순 분류·분석 업무는 로봇 자동화가 가능해지며,
챗봇/음성AI 응답이 일반화되면서 단순 상담 수요가 크게 감소하고 있습니다 .

 

④ 단순 빌딩 및 시설 관리직

센서 기반 자동화・IoT 시스템이 도입되면서 반복성 시설 관리 업무는 축소되고 있습니다.

 

⑤ 일부 제조·조립 라인

로봇 조립 시스템과 AI 검사 장비 확산으로, 현장 단순 작업의 수요가 점진적으로 줄어들고 있음.

 

KEY 메시지: AI는 단순 반복·정형 업무를 ‘더 싸고 빠르게’ 대체하고 있으며, 지금 준비가 필요한 직업은 바로 이러한 직무에 종사하는 분들입니다.

 

 떠오르는 직무 Top 6: 기회는 늘어난다

① AI/ML 엔지니어, 데이터 분석가

WEF 리포트에 따르면 데이터·AI 관련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할 것이며, 이 흐름은 향후 170M 일자리를 창출할 것으로 보입니다

② 사이버보안 전문가

디지털 보안의 중요성이 국가·기업 모두에게 부각되면서, 사이버보안 수요는 가장 빠르게 증가 중 .

 

③ 그린 산업 직무 (재생에너지, 탄소회계 등)

탄소중립과 ESG 정책으로 인해 그린 전환 관련 직무는 필수 신규 채용 영역이 되고 있습니다 .

 

④ 헬스케어 및 돌봄 서비스

인구 고령화 추세 속에 간병인, 사회복지사, 원격 모니터링 전문가 수요가 크게 늘어납니다 .

 

⑤ AI 윤리 및 정책 담당자

AI로 인해 윤리, 규제를 고민하는 직무가 부상하며, 기업·정부가 윤리적 AI 생태계를 만들기 위한 AI 윤리담당관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보입니다 .

 

⑥ 디지털 협업/원격근무 전문가

OECD에서 협업 툴, 원격근무 정책 기획 및 운영 담당자의 수요가 기업 전략 수립 핵심 요소로 떠올랐습니다 .

 

리스킬링 & 커리어 전환 로드맵

① 본인의 직무 자동화 위험도부터 점검

단순성 여부, 반복성 업무 비중, AI 도입 가능성 → 먼저 점검 필요

 

② 전문성과 AI·디지털 스킬 결합

예: 회계사 + 탄소회계 스킬

예: 마케터 + 데이터 분석 + AI 툴 활용

 

③ 소프트 스킬 강화

협업, 회복탄력성, 창의력 등의 역량은 WEF 보고서에서 AI 이후 생존 핵심 스킬로 지목됨 .

 

④ 마이크로 자격증 취득 및 AI 툴 활용

Coursera, Notion, Power BI, Python 기초, ChatGPT 활용 등

경력 전환을 위한 스킬 기반 채용 방식(Skills-based hiring) 트렌드를 맞추는 것이 핵심 .

 

⑤ 증빙 가능한 결과물을 제작

포트폴리오, 프로젝트 결과물, 팀 업무 자동화 사례

글로벌 채용이 ‘스킬 기반’으로 바뀌고 있기 때문에 결과물이 핵심

 

글로벌, 국내 채용시장의 “주목 포인트”

OECD: 고령화·여성·이민자 노동력 확대

OECD는 중·고령·여성·이민자 노동 참여 확대가 곧 GDP 성장이라고 강조
월스트리트 저널.

 

WEF: 네트워크 강화와 AI 협업 역량

WEF는 “협업 툴 능력 · AI 리터러시 · 회복탄력성”이 글로벌 채용 기준이 되었다고 밝힘 .

 

LinkedIn: 스킬 기반 채용 확대

linkedin과 WB 보고서는 정규 학력보다 스킬 중심 채용이 늘어난다는 점을 명확히 언급 .
즉, 직무 전환 시 이제 스펙보다 ‘기능 증명’을 만드는 것이 중요합니다.

 

✅ 마무리 정리

핵심 질문 내용 요약
어떤 직업이 사라질까? 단순·정형 업무 (사무, 키오스크, 단순상담 등)
어떤 직무가 떠오르나? AI, 사이버, 그린에너지, AI 윤리, 디지털 협업
어떤 역량이 경쟁력인가? 기술+소프트스킬 조합, AI 활용, 회복탄력성
실제로 어떻게 준비하나? 리스킬링 → 마이크로 프로젝트 → 스킬 포트폴리오
정책 및 노동시장 핵심 흐름? 고령화 대응, 스킬 기반 채용, 여성/고령 참여


2025 고용 리포트 요약, 사라질 직업, 신직무 Top 6, 리스킬링 전략, AI 시대 커리어 전환, 디지털 스킬, 스킬 기반 채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