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5 세계경제포럼 (WEF)이 말하는, 다가올 5년 어떤 직업이 뜨고 어떤 기술이 사라질까? 핵심 요약 5가지! 그리고 대응 자세는?

by 지니튜터 2025. 7. 4.

"다가올 5년, 어떤 직업이 뜨고 어떤 기술이 사라질까?"

오늘은 2025 세계경제포럼(WEF)이 발표한 미래 일자리에 대한 트렌드 핵심 내용 5가지와 주요 내용을 알아보겠습니다. 여러분은 지금 또는 향후 직업에 대해 어떤 생각을 하게 되셨나요? 

2025 세계경제포럼 (WEF)이 말하는, 다가올 5년 어떤 직업이 뜨고 어떤 기술이 사라질까? 핵심 요약 5가지! 그리고 대응 자세는?
2025 세계경제포럼 (WEF)이 말하는, 다가올 5년 어떤 직업이 뜨고 어떤 기술이 사라질까? 핵심 요약 5가지! 그리고 대응 자세는?

2025 미래 일자리 보고서 핵심 내용 5가지: 

✅ 핵심 내용 1: 2025~2030년, 22%의 일자리가 변동한다

세계경제포럼은 2025년부터 2030년까지 약 1.2억 개의 일자리가 새로 생기고,
9,200만 개의 일자리가 사라져, 총 22%의 구조적 변동이 일어날 것이라 전망했습니다.
이는 단순한 경기 침체가 아닌, 기술과 사회 변화로 인한 구조적 재편입니다.

 

✅ 핵심 내용 2: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직무는 ‘기술 기반’ 직업군

AI, 빅데이터, 핀테크, 사이버보안, 소프트웨어 개발자가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직업군으로 꼽혔습니다.
그 외에도 재생에너지 엔지니어, 자율주행차 전문가, 환경 엔지니어 등 그린 직업군도 상위권에 위치했습니다.

 

✅ 핵심 내용 3: 가장 빠르게 사라지는 직무는 ‘사무·행정’ 관련 직무


데이터 입력, 은행 창구, 사무 보조, 텔레마케터, 우편 서비스, 캐셔
반복적이고 정형화된 업무는 AI 및 자동화 기술로 인해 빠르게 대체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 핵심 내용 4: 향후 5년간 필요한 기술의 39%가 새롭게 바뀐다

 

보고서에 따르면, 기존 기술의 39%가 2025~2030년 사이에 구식이 될 수 있으며,
AI·빅데이터·사이버보안 외에도 창의력, 유연성, 리더십, 학습 역량이 빠르게 중요해질 것입니다.

 

✅ 핵심 내용 5: 리스킬링과 업스킬링이 생존의 열쇠다

전체 인력 중 59%가 재교육이 필요하며, 11%는 재교육 받지 못해 고용 위험에 처할 것이라는 경고도 나왔습니다.
응답 기업의 85%가 향후 5년간 리스킬링 전략을 추진할 계획이며,
인재 확보의 핵심 수단으로 복지, 유연근무, 경력 전환 기회가 부각되고 있습니다.

 

 

📚 WEF 2025 미래 일자리 보고서: 주요 챕터 요약

 

① 글로벌 노동시장 개요 (Introduction)

  • 세계는 팬데믹 이후 기술, 기후, 경제, 정치, 인구 등 다양한 변수로 노동시장이 변화 중.
  • 전 세계 청년층 NEET 비율 21.7%, 특히 저소득국에서 심각.
  • 여성 실업률은 남성보다 높아, 성별 격차도 지속되고 있음.
  • 미래 일자리에 대한 논의는 단순 실업률보다 더 넓은 시각이 필요함.

② 노동시장 변화의 5대 메가트렌드 (Macrotrends)

1. 기술 발전 (60%)

  • AI·로봇·에너지 기술이 기업 변화의 가장 큰 동력
  • 특히 생성형 AI(GenAI)의 도입이 폭발적으로 증가

2. 생활비 상승 (50%)

  • 인플레이션과 생활비 압박은 창의력·유연성·회복탄력성 역량의 중요성을 높임

 

3.기후 대응 (47%)

  • 친환경 직무 증가: 재생에너지, 탄소감축, 전기차 산업 등

 

4.인구 구조 변화 (40%)

  • 고령화 → 간병, 의료 직무 수요↑
  • 청년 인구 증가 → 교육, 훈련 직무 수요↑

 

5. 지정학적 분열 (34%)

  • 글로벌 무역 갈등, 리쇼어링 증가 → 사이버보안·공급망 직무 부각

 

③ 일자리 전망 (Jobs Outlook)

순증가 직무:

  • 빅데이터 전문가, AI/ML 엔지니어, UI/UX 디자이너, 재생에너지 기술자
  • 배달기사, 농업노동자, 간병인, 교육자 등도 인력 수요 급증

순감소 직무:

  • 데이터 입력원, 은행 창구직, 텔레마케터, 비서, 회계 사무 등
  • 사무행정·단순 반복 작업 직군은 자동화로 급격히 감소

 

④ 필요한 기술 변화와 재교육 (Skills Outlook)

가장 중요한 기술:

  • 분석적 사고, 회복탄력성, 리더십, 디지털 리터러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기술:

  • AI와 빅데이터, 네트워크·사이버보안, 지속가능성 이해력

재교육 수요:

  • 전체 인력 중 59%가 리스킬링 필요
  • 기업의 85%가 재교육을 우선순위로 삼고 있음

 

⑤ 기업의 전략적 대응 (Workforce Strategy)

인재 확보 전략:

  • 직원 복지 강화(64%)
  • 유연 근무제, 직무 이동 경로 설계

리스크 요소:

  • 기술 격차(Skill Gap)가 가장 큰 장애물 (63%)

채용 계획:

  • AI 역량 보유 인재 적극 채용 예정(66%)
  • 자동화로 인한 인원 감축도 병행할 예정(40%)

 

✨ 기술이 일자리를 없애는 게 아니라 ‘변화시키는’ 것이다


세계경제포럼의 보고서가 전하는 핵심 메시지는 분명합니다.

 

❝ 우리는 기술에 대체되는 것이 아니라, 기술과 협업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 ❞

 

2025년부터 2030년까지의 변화는 일자리 자체가 줄어들기보다는
“일의 방식”이 달라지고, 필요한 역량이 재편되는 시대입니다.

 

지금 필요한 것은 두려움이 아니라,
📌 정보를 읽고, 학습하고, 방향을 설정하는 행동입니다.

 

 

국회도서관 국가전략정보포털: Future of Jobs Report 2025(2025 미래 직업 보고서) : 확인 하기 >